’1인당 25만원’ 국민지원금, 사용불가능한 곳은
코로나19 상생 국민지원금 지급 절차가 6일 시작됐다.(사진=연합뉴스)
첫 번째/ 국민지원금 접수 6일부터 시작돼
‘코로나19 상생 국민지원금'(국민지원금) 신청 절차가 6일 오전 9시부터 시작됐습니다. 이번 지원금은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해 위축된 민생경제를 살리고, 국민 생활의 안정을 꾀하기 위해 지급됩니다.
국민지원금은 소득 하위 88%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씩 제공됩니다.
◆카드사 홈페이지 통해 조회 가능…’요일 5부제’ 적용도
국민지원금 지급 대상 여부는 카드사 홈페이지·앱·콜센터·ARS,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앱 등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지급 기준은 6월에 부과된 본인 부담 건강보험료(건보료)의 가구별 합산액입니다.
단,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에는 특례를 적용합니다. 1인 가구는 직장가입자나 지역가입자 모두 6월 부과금이 17만원(연소득 5800만원 기준) 이하면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맞벌이 가구는 현재 가구 구성원에 한 명을 더해 건보료를 책정합니다.
청장년층 백신 접종과 비슷한 방법으로, ‘요일 5부제’가 적용됩니다. 정부는 홈페이지 접속 장애 방지를 위해서라고 설명했으며, 시행 첫 주에만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요일제가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출생연도 끝자리가 1·6인 경우 월요일, 2·7인 경우 화요일, 3·8인 경우 수요일, 4·9인 경우 목요일, 5·0인 경우 금요일입니다. 주말에는 요일제 적용없이 모두가 신청할 수 있습니다.
◆편의점 되고, 스타벅스선 사용 불가
지급 수단은 △신용카드△체크카드 충전△선불카드△지역사랑상품권 가운데 신청인이 고를 수 있습니다. 국민지원금 충전이 가능한 카드사는 롯데·비씨·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씨티 제외) 등입니다. 카카오뱅크(체크카드)·카카오페이(페이머니카드)는 앱에서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사용처는 주소지 내 지역사랑상품권 가맹 점포입니다. 전통시장, 동네 슈퍼마켓, 식당, 미용실, 약국, 안경점, 의류점, 학원, 병원, 프랜차이즈 가맹점(편의점, 빵집 등) 등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사용이 불가능한 곳은 스타벅스 등 직영매장 프랜차이즈입니다. 또 백화점이나 복합쇼핑몰,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면세점, 대형 배달앱, 온라인몰, 홈쇼핑 등에서도 불가능합니다.
국민지원금 신청 마감일은 10월 29일, 사용 가능일은 12월 31일까지입니다.
◆’스미싱’ 범죄 유의…의심 시 118 신고해야
국민지원금 신청이 시작되며 정부기관을 사칭하는 이른바 ‘스미싱’ 범죄가 증가할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필요합니다.
스미싱은 악성 앱 주소를 메시지로 보내 이용자의 개인정보 등을 갈취하는 범죄 수법입니다. 출처가 불분명한 안내문자 혹은 의심스러운 주소 링크가 포함된 문자를 받으면 바로 삭제하고, 스미싱이 의심된다면 한국인터넷진흥원 118 상담센터에 신고해야 합니다.
행정안전부는 5일 “정부·카드사를 사칭한 의심스러운 인터넷주소가 포함된 문자를 받으면 클릭하지 말고 바로 삭제하고, 문자를 열람했다면 문자 내 인터넷주소(URL) 클릭에 신중해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